입력 : 2013-01-23 09:43:42ㅣ수정 : 2013-01-23 09:43:42
이는 다른 소득 계층별 차이보다 큰 수치다. 중하 집단의 경우 박 후보의 지지율은 57.8%, 문 후보의 지지율은 42.2%로 지지 격차는 15%였다. 중위 계층과 중상 계층의 격차는 더 좁혀져 5%와 2%의 차이를 보였다. 중위 집단에서 문 후보에 대한 지지가 높았고 중상위 집단은 거의 동일한 비율로 나뉘었다.
소득 계층은 통계청이 밝힌 우리나라 2012년 3분기 평균 가계소득(414만 2000원)을 기준으로 하(199만원 이하), 중하(200~399 만원), 중(400~499 만원), 중상(500~699만원), 상(700 만원 이상) 등 5개로 소득 계층을 구분했다. 저소득층과 달리 가장 소득이 높은 상위 계층은 계급 정치, 혹은 계층 정치에 부합했다. 상위 계층의 박 후보 지지율은 57.4%로 문 후보보다 약 15% 높았다.
특히 이들 상위 소득 집단은 통합진보당, 진보정의당, 이정희 후보 등 좌파 계급 정당에 대해 강한 적대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소득에 따른 정당 일체감의 경우에도 후보 지지의 패턴과 매우 유사했다. 소득 하위, 중하위 집단에서 새누리당에 대한 일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최상위 소득 집단에서도 새누리당에 대한 일체감이 확인됐다. 중위, 중상위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민주통합당에 대한 일체감이 높았다.
강 교수는 “설사 진보 정당이 사회적 부의 재분배와 같이 경제적 이해관계에서 저소득층 유권자들에게 보다 유리한 정책을 펼칠 수 있다고 해도 우선적으로 이들이 선거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인의 이익이나 경제적 이해관계보다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중시하기 때문에 보수 정당이나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저소득층 유권자들은 한미 동맹의 강화처럼 과거의 반공이데올로기와 관련된 남북관계·대외정책, 그리고 사회적 차원에서 ‘법과 질서’의 강조와 같은 보수적 태도를 취했다.
강 교수는 “이들은 사회적 부의 재분배와 같은 경제적 차원에서의 이해관계보다 강한 안보, 법과 질서의 강조 등의 사안에 관련한 이해관계를 보다 중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며 “사회질서 이슈와 같은 전통적인 보수 정당의 아젠다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직업별 분류에 의한 분석에서는 이분법적인 계급 정치의 특성이 잘 적용되지 않았다. 노동계급에 포함된 집단이라고 해도 그 하위 집단별로 정치 성향이나 정파적 지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화이트칼라로 규정할 수 있는 직업 군 내에서도 하위 집단별로 서로 상이한 정치적 특성을 보였다.
강 교수는 “노동 대 자본, 노동 대 중산층, 혹은 블루칼라 대 화이트칼라와 같이 두 개의 경쟁 집단으로 단순화된 유형 구분보다는 우리의 경우에는 직업에 따른 계층 투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세부적인 집단의 유형화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정치 > 18대 대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檢, '대선 미완주' 이정희 의원 피소 사건 직접 수사 (0) | 2013.02.01 |
---|---|
윤여준 “문재인, 대선전략 효율적으로 총괄·지휘했다면 선거 잘 치뤘을 것” (0) | 2013.01.29 |
박근혜 주변 사기꾼들, 왜 “공약 버리라”고 하나 (0) | 2013.01.17 |
“65살이상 어르신 매월 20만원 준다해놓고, 이제와…” (0) | 2013.01.14 |
[중앙시평] 5년 뒤 민주당이 집권하려면 (0) | 201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