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어있던 정부 부채 48조원 드러났다
[중앙일보] 입력 2012.12.25 00:24 / 수정 2012.12.25 00:44새 국제 기준 적용하니 늘어
작년 468조 … GDP의 37.9%
OECD 평균보다 양호한 편
기획재정부는 24일 최신 국제 기준에 맞춘 재정 통계를 발표했다. 새 기준은 현금이 오가기 전이라도 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장부에 반영(현금주의→발생주의)한다. 또 정부 조직·기금 외 비영리 공공기관의 부채도 반영한다. 재정부는 앞으로 국제 비교에서는 새 지표에 따른 부채를 기준으로 쓸 계획이다. 결국 지금까지 한국의 재정 상황이 실제보다는 조금 더 좋게 비춰졌었던 셈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최신 기준을 쓰는 나라는 미국·영국 등 15개국이다. 다만 새 기준으로도 하더라도 한국의 GDP 대비 국가부채 규모(37.9%)는 OECD 평균(102.9%)보다 훨씬 낮다.
- 신·구 부채 산정 방식의 차이는.
“세 가지 회계 방식이 있다. 과거 방식(현금주의 국가채무)은 실제 돈이 입·출금 될 때 장부에 반영한다. 집계 대상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 국한한다. 새 방식인 ‘발생주의 일반정부 부채’는 돈이 오간 것에 관계없이 거래가 발생하면 장부에 반영한다. 비영리 공공기관의 부채도 반영된다. 가장 포괄적인 부채는 ‘발생주의 재무제표상 부채’다. 국민연금 등 미래 부채까지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하면 지난해 부채는 773조6000억원(GDP의 62.5%)이다.”
- 셋 중 뭐가 공식적인 통계인가.
“셋 다 공식 통계다. 각각 쓰임새가 있다. 현금주의 국가채무에 대한 평가는 정부가 직접 통제 가능한 재정을 얼마나 짜임새 있게 쓰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발생주의 일반정부 부채는 국제 비교 기준이 된다. 재무제표를 통한 부채 파악은 미래 위험까지 감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왜 과거 방식에선 ‘국가채무’라고 하고, 새 기준에선 ‘일반정부 부채’라 하나.
“결과적으로 같은 말이다. 굳이 새 기준을 ‘일반정부’라고 한 것은 국가채무라고 하면 가계·기업 등의 부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
- LH·수공 등의 부채가 제외된 것은 꼼수 아닌가.
“국제 기준에 따른 것으로 꼼수는 아니다. 그러나 한국에선 공기업이 사실상 정부 사업을 하는 경우가 있는 만큼 이 부분의 부채에 대해서도 관리를 강화할 필요는 있다.
- 김영훈 기자 [filich@joongang.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 맞벌이 가구 43.5%에 달해 (0) | 2012.12.26 |
---|---|
지하경제 / 정영무 [한겨레신문] (1) | 2012.12.26 |
한국 돈 비싸지니 일본이 웃는다 (0) | 2012.12.14 |
미 '재정절벽' 향후 3가지 시나리오 (0) | 2012.12.05 |
정치와 경제 '함수' 풀어봅시다 (0) | 201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