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문
- 국제부 차장 ejlee@kookje.co.kr
- 2013-01-22 20:13:41
- / 본지 26면
프랑스는 급진 이슬람주의인 말리 반군의 민간인에 대한 학대를 막고 말리에 거주하는 6000여 명의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내전에 개입했다. 1960년 프랑스에서 독립한 말리는 투아레그족이 꾸준히 분리 독립을 요구하면서 그동안 정국이 불안했다. 그러다 투아레그족이 지난해 1월 '아자와드 해방국민운동'을 출범하면서 말리 정부와 대대적인 전쟁이 벌어지게 된 것이다.
반군은 군사쿠데타로 말리 정국이 혼란해지자 전략적 요충지인 코나를 점령하는 등 세력을 확대하고 있다. 말리 정부는 전국이 반군에 의해 함락될 가능성을 보이자 프랑스에 SOS를 요청했다. 프랑스의 개입은 표면적으로는 인도주의적인 측면이 커 보이지만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패권 다툼이 실제 배경이다. 말리는 알제리, 모리타니 등 7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서아프리카의 요충지로 무장세력이나 테러집단이 인력과 물자를 수송하는 중요한 경로이다.
따라서 말리가 예멘, 소말리아처럼 테러리스트의 온상이 되면 프랑스가 누렸던 아프리카 내 이권이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 유엔과 세계 각국도 비슷한 이유로 프랑스군의 군사 개입에 대해 전폭적인 지지 의사를 밝히면서 지원을 약속했다. 국제사회가 말리 내전 사태에 신속하게 개입한 것과 달리 시리아 내전 해결은 손을 놓고 있다.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시리아 내전으로 현재까지 사망자 수가 6만 명이 넘어섰고 인접국가로 내몰린 피란민도 40만 명 이상이다.
시리아는 인종구성과 이슬람 종파로 내부 분열이 심각한 나라다. 국민의 75%가 수니파지만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을 비롯한 군부집권층은 소수인 시아파 그룹이다. 시리아 내전은 아랍의 봄바람이 불던 2011년 시아파 정부군이 이란을 중심으로 러시아, 중국과 합세했고 반군이 서방세계의 지원을 받으며 심화했다. 이는 강대국과 관련국의 이해관계 충돌이라는 냉엄한 국제정치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시리아에 군사 개입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이 "장기적인 무력사태가 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속셈은 따로 있다. 1970년대 이후 아사드 대통령 가문을 지지해온 러시아는 시리아에 무기를 수출하고 있고 해군기지를 지원받고 있다. 중국도 무기를 대량 수출하고 있다.
반면 미국과 서방국가에게 시리아는 매장 석유나 자원이 많지않아 중요하지 않다. 특히 시리아의 지정학적 위치도 문제를 복잡하게 하고 있다. 시리아는 러시아, 이란,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하마스와 동맹 관계를 맺고 있다. 미국은 시리아의 우방 세력들과 충돌할까봐 개입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국제사회가 자국의 이익이나 정치적 계산을 하는 사이 어린이와 여성 등 시리아 민간인들이 오늘도 무차별적으로 학살되고 있다. 더는지체할 시간이 없다.
'국회 > 외교통상통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진핑의 차이나 3.0시대 (0) | 2013.03.17 |
---|---|
북중 국경1,400km를가다 -북 급변사태 대비하는 중국 (0) | 2013.03.06 |
중국 고속철 일일생활권시대 (0) | 2012.12.27 |
과연 지난 민주정부 10년간 북한에다 퍼주기를 한것이 맞을까요?[펌] (5) | 201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