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입력 2013.08.21 00:29 / 수정 2013.08.21 00:29
권석천
논설위원
논설위원
지난 16, 19일 국회에서 진행된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국정조사 청문회는 이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 핵심 증인들은 증인 선서 거부권과 가림막 뒤에 숨었고, 여야 의원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에 맞는 증언을 취사선택했다. 여와 야, 어느 쪽 책임이 클까. 전직 국회사무처 간부의 얘기다.
“국정조사계획서에 나오는 ‘조사의 목적’을 기준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봅시다. 국정원 선거 개입 의혹과 축소수사 의혹 및 폭로과정의 의혹 등에 대해 그 실체적 진실을 규명해 재발을 방지하고 국정원의 정치적 중립을 확보하기 위한….”
빼고 보탤 것도 없이 조사의 목적에서 멀었던 건 새누리당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9명의 새누리당 특위 위원 중 5명이 법대를 나와 사법시험에 합격한 검사 출신이란 사실이다. 권성동·김재원·경대수·김도읍·김진태 의원. 나는 헌법과 형법을 배운 이들 중 누군가의 입에서 최소한 이 정도 말은 나올 줄 알았다.
“국정원이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 관한 인터넷 활동을 한 것은 잘못이다. 검찰이 제시한 국정원장 지시·강조 말씀이 사실이라면 직무 범위를 넘어선 것이다. 그러나 조직적 선거 개입이라고 볼 수는 없다.”
현실은 달랐다. 국민의 눈으로 진실을 찾아야 할 자리에서 엉뚱하게 형사재판의 무죄추정원칙을 내세우며 변호인을 자임했다. “취임사에서 엄정 중립을 강조했는데 맞는가요?”(권성동), “대한민국을 전복해서 적화시키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제도권에) 들어오는 게 맞습니까. 대선에서 이겨야 되겠습니까. 그런 걸 막자고 있는 게 국정원 아닙니까.”(김진태)
의혹의 실체에 접근해 보려는 의지도, 종북 세력과 야당 지지자를 구분하는 분별력도, 법을 다루는 이로서의 균형감도 보이지 않았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 건강을 걱정하다가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은 “아집이 심하고 독선적”이라고 몰아세웠다. 새누리당의 공격은 ‘권은희 청문회’를 부각시키는 역효과를 냈다.
나 자신도 원 전 원장에게 정치관여죄를 넘어 선거법까지 적용하는 게 옳은지는 의문이다. 검찰이 수사 결과를 그럴듯하게 만들기 위해 경찰 디지털증거분석팀의 대화 내용을 일부 편집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본다. 다만 법률가라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기본을 흔드는 국정원 탈선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것 아닌가. 적어도 같은 비중으로 다뤄야 하는 것 아닌가. 보수주의자를 자처해온 한 재야 학자의 말이다.
지금 우리 사회가 진영논리와 정치 과잉에 흔들리는 데는 법의 잣대를 쥔 자들의 탓이 크다. 법은 보이는 그대로를 보고, 어느 것이 무겁고 가벼운지 따지는 것이다. 그래서 잣대가 중요하다. 저울의 잣대[衡]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이 균형(均衡)이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평형(平衡)이다.
유권자들이 법조인을 국회에 보내는 건 배우고 익힌 대로 사회의 균형과 평형을 잡아달라는 뜻인데 정작 그들은 정당·진영의 특급 검투사를 꿈꾸는 듯하다. 그러니 “만약 검찰을 시민단체 조직으로 바꾸잖아. 그럼 금방 그 일도 잘할 사람들이다”(김어준, 『닥치고 정치』)는 비아냥을 듣는 것 아닐까.
이제 청문회를 지켜본 많은 이들은 물을 것이다. 법을 배운 자들이 저러할진대 누구에게 억울함을 하소연할 건가. 법도 끝까지 우기면 되는 건가. 법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나는 그런 수군거림이 무섭고 두렵다.
권석천 논설위원
'사설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국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국미사 / 고명섭 (1) | 2013.08.26 |
---|---|
[곽병찬 칼럼] ‘검찰이 씌웠다는 누명’ 특검으로 벗겨라 (0) | 2013.08.22 |
대화록의 진실2 “김무성, 박근혜, 그리고 법치주의에 대하여” (0) | 2013.08.01 |
대화록의 진실1 “정문헌 의원의 착각 또는 거짓말”[유시민 전 보건복지부장관님 홈피글 퍼옴] (2) | 2013.08.01 |
[오늘]‘찢어진 회의록 (1) | 2013.07.24 |